Skip to main content

[두잇디릿] 땅거미 진 천년 고찰 부석사서 울려퍼진 그윽한 법고소리





휴일, 무량수전으로 잘 알려진 부석사엘 다녀왔다. 경북 영주시 부석면에 위치한 이곳에 도착할 무렵엔 이미 땅거미가 지기 시작하고, 가느다란 이슬비가 촘촘이 내리고 있었다. 부석사는 태백산 끝자락 가파지르는 봉황산 경사면에 자리잡고 있어, 방문객들의 접근이 쉽지만 않은 곳이었다. 지금까지 가본 사찰 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 사찰이랄까. 속세의 유혹에 쉬이 휘둘리진 않겠단 의지의 표현인 건지 부석사의 산세와 오르막은 대단하게 느껴졌다. 부석사는 시작부터 끝까지 오르막과 가파른 계단의 연속이었다. 나중에 글을 쓰며 알게 된 것이지만, 부석사 계단은 108개로 이뤄져 있다고 한다. 백팔번뇌를 딛고 올라서야만 무량수전에 안치된 부처상 소조여래좌상에 닿을 수 있다는 의미다. 모르고 오를 때와 알고서 오를 때의 감흥이나 마주하는 태도는 전혀 다른 것이 되게 마련. 무릇 아는 만큼 보이고, 많이 보기 위해서는 우선 많이 알고 가야 했거늘, 계획하지 않은 갑작스런 여정은 대상의 속뜻을 쉽사리 보여주지 않는다.






부석사는 자동차 도로의 끝자락인 봉황산 초입의 못을 빙 둘러 조금 올라가다 보면 매표소가 나온다. 조금 더 올라가다 보면 절의 입구인 일주문과 천왕문이 순차적으로 나오게 된다. 이곳을 죽 통과해 가파른 계단을 한걸음 한걸음 오르다 보면 사찰 한 가운데 비범한 기운을 내뿜는 범종루가 보이게 된다. 이날은 어스름이 깃들고 이슬비가 내려 희미하게 보이는 밤안개 사이로 보이는 부석사의 내부 풍경은 고즈넉했으며 신비로움이 감돌았다. 어둠이 져 거무스름하고 흐릿하게 보이는 웅장한 크기의 범종루 위로는 승려 한 분이 가만히 때를 기다리고 있었다. 저녁 예불을 알리는 33번의 법고(큰북) 타고(打鼓) 의식을 위한 기다림이었다. 범종루에 이어 안양루를 통과한 다음에는 부석사의 상징이자 최종 목적지인 무량수전을 마주할 수 있었다. 무량수전 안에는 우리나라 국보 제45호인 소조여래좌상이 신비스럽고도 근엄한 표정으로 결가부좌를 틀고 있었다.





무량수전에 당도할 쯤에는 부석사 전체에 어둠이 짙게 깔린 후였다. 새 지저귀는 소리나 풀벌레 우는 소리조차 들리지 않을 정도의 적막 속에서 나직히 북 소리가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 예의 그 스님이 타고를 시작한 것이었다. 법고의 울림소리는 무척 고요하게 범종루 바깥으로 나긋이 나긋이 번져갔다. 어둠과 적막이 깔린 밤안개 핀 산속 사찰 정상에서 속세를 내려다보며, 나직히 울려퍼지는 북소리를 가만히 듣고 있노라니 감개가 무량했다. 수만 가지 감정이 교차했다. 이곳에 오길 참 잘했다고 생각드는 순간이었다. 아쉬운 게 있다면, 폰카로는 이곳의 고즈넉한 신비로움을 전혀 담아낼 수 없었다는 점.



http://cfile21.uf.tistory.com/image/2355B4365544B2AF1B54C5








junatown@gmail.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