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해외공장

[寢馬廁] 트럼프 전성시대, 현대차 미국 3조 투자 결정이 아쉬운 이유

http://www.hanindiario.com/PEG/14326565922533.jpg 현대차가 트럼프의 압박에 굴복했습니다. 현대차는 미국내 현대차 수요량이 공급량을 넘어서기 때문에 미국 투자 결정을 내렸다는 식의 명분 세우기성 리포트를 모든 방송사를 통해 내보냈습니다. KBS 등 공중파 방송사들은 현대차의 주장을 그대로 옮겨 담았습니다. 뉴스 방송사의 시각이 그래서는 안 되는데 말이죠. 현대차의 명분만 세워줄 게 아니라, 우리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를 중점적으로 살펴봤어야 합니다. 결국 현대차의 이번 미국 투자 결정은 트럼프에 의한 것입니다. 미국공장 증설이 필요했다면, 기업 입장에서 진작 증설하고도 남았을 것입니다. 현대차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해야 할 파이가 줄어들게 됐습니다. 기존 멕시코공장과 더불어 신설 미국공장의 수요를 더해서 과연 우리가 미국에 수출할 파이가 얼마나 줄게 될지 우려가 커지는 상황입니다. 달라지는 건 현대차의 이익 감소와 더불어 미국내 일자리 창출에 대한 현대차의 공헌도가 올라간다는 점입니다. 현대차가 미국에 공장을 지음으로써 세금을 더 내고, 미국내 일자리를 더 창출해, 미국 노동자의 살림살이에 보탬을 주게 됐습니다. 우리 기업이 해외서도 좋은 일 많이 하네요. http://cfile28.uf.tistory.com/image/2569E4355820938B2194BB 그런데 미국만 급한가요? 어제 IMF에서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충격적이게도 OECD 가운데 우리나라와 이탈리아만 성장률이 더 떨어졌습니다. 미국보다 우리 경제가 더 급하단 소리입니다. 우리 경제 생각보다 더 심각해 보입니다. 그런데 가계 소비가 줄고 기업 이익이 감소하는 걸 모두 '김영란법'으로 '명분 후려치기'를 해대고 있습니다. 김영란법 때문에 그렇다는 터무니없는 논리가 지겹기만 합니다. 우리나라 일자리 문제가 더 급하단 건 정부고 기업이고 언론이

CJ제일제당, 인니 사료공장 2개소 추가확보, 동남아 사료시장 1위 맹추격

CJ제일제당 인도네시아 신규 사료공장. CJ제일제당이 연6%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동남아 사료시장 1위를 목표로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습니다. 20일, CJ제일제당은 인도네시아에 신규 사료공장 2개소를 완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양계 및 양어 등을 위한 사료공장인 스마랑 공장과 양계사료 제조 목적의 칼리만탄 공장이 바로 그것입니다. 회사측에 따르면, 인니 중부 자바섬 바땅(Batang) 지역에 건설한 스마랑(Semarang) 공장은 양계/양어사료 등을 연간 약 26만 톤 생산할 수 있습니다. 중북부에 위치한 칼리만탄(Kalimantan) 지역의 칼리만탄 공장은 양계사료를 연간 약 18만 톤 생산할 수 있습니다. CJ제일제당은 이들 두 곳의 공장 완공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연간 약 280만 톤이 생산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신규 건설한 사료공장 2개소를 포함하면, 현재 CJ제일제당은 인도네시아 6개소, 베트남 4개소, 필리핀 1개소, 캄보디아 1개소 등 동남아 지역에만 총 12개소의 사료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세계 1위 사료기업이 되기 위한 CJ제일제당의 목표는 여기서 머물지 않습니다. 추가로 CJ제일제당은 내년 인도네시아 1개소, 베트남 2개소, 필리핀 1개소 등 총 4개소의 사료 공장을 추가 건설해 동남아시아 공장 수를 16개까지 늘릴 예정입니다. 이후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의 뒤를 이어 큰 폭의 경제 성장이 기대되는 미얀마, 방글라데시 등 동남아 미개척 국가에도 생산기반을 확보하고 국가간 시너지효과를 노린다는 밑그림입니다. 현재 37개인 현지 축산 시설도 2020년까지 58개로 확대해 닭과 돼지 생산 개체 수를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2013년 베트남에 설립한 ‘동남아시아 R&D센터’를 중심으로 현지화된 사료 및 품종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도 지속한다는 방침입니다. CJ제일제당은 신규 공장 건설을 통해 2020년까지 동남아시아 사료 생산규모를 현재보다 약